Search
사이트 내 전체검색
t32.png

[리뷰] FHD, 240Hz를 충족하는 게이밍 모니터 비트엠 Newsync X277F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비트엠
댓글 0건 조회 61회 작성일 23-05-12 16:37

본문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8_7656.jpg

비트엠 Newsync X277F : FHD, 240Hz를 충족하는 게이밍 모니터

게이밍 모니터의 기본
모니터는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로, PC나 각종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구성 중 하나입니다. 이는 정보를 확인하고 인식하는 단계 모두에 걸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며, 따라서 일부 모니터는 특정 사용 목적에 최적화되어 더욱 높은 사용성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전문가용 모니터는 높은 색역과 정확한 색상 표현을 지원하여 그래픽 디자인, 영상 편집, 게임 등 전문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데 최적화된 제품인데, 이러한 모니터는 고해상도, 색상 보정, 광색역 패널 등의 기술이 적용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기술 발전과 시장 경쟁이 과열됨에 따라 기본형 모니터도 일부 스펙을 충족하는 경우도 찾아볼 수 있어 더욱 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물론 가장 대중적이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카테고리 중에서는 게임 환경을 위한 게이밍 모니터도 빠질 수 없는데, 대개 높은 주사율과 반응 속도, 낮은 인풋랙 등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덕분에 사용자는 게임 환경에서 더욱 민첩한 화면 전환을 체감할 수 있는데, 특히 주사율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본형 모니터가 60~75Hz의 주사율을 가진 것과 달리, 120Hz, 144Hz, 240Hz 등의 높은 주사율을 지원하여 더 빠른 반응 속도와 부드러운 화면 전환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오늘 리뷰에서 살펴볼 제품인"비트엠 Newsync X277F"는 27인치 VA 패널이 적용된 모니터로 1920 x 1080 FHD 해상도와 최대 240Hz의 주사율을 지원합니다. 200Hz 이상의 초 고 주사율을 제공하는 이번 제품은 게임 자체의 퀄리티보다 빠른 반응 속도를 중요시 여기는 코어 게이머에게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Adaptive Sync와 기본기를 갖춘 패널로 가성비 코어 게이머용 모니터를 찾는 사용자에게 좋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8_8217.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8_8983.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0266.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0892.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368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505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715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49_847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341_9442.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7_7494.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7_8678.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7_9632.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063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1798.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292.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4288.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531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6062.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88_750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6_388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6_617.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6_846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7_08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7_301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7_521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7_7843.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7_913.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8_049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098_1743.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5_683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5_8654.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5_981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041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1748.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355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505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696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6_876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07_0964.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6_845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050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113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171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239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3572.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5824.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8905.png

Windows 8의 기본 이미지를 사용한 샘플 샷으로 테스트용 PC에 띄워 간단히 컬러를 비교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해당 사진은 촬영 후 리사이징 이외 아무런 보정을 하지 않은 기본 상태이며, 실 사용 시 상, 하, 좌, 우 베젤의 모습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7_9582.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18_2727.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8_261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8_5869.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8_910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9_224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9_5477.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29_8703.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30_200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30_5248.png

제품은 우측 후면에 위치한 버튼을 통해 OSD 메뉴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메뉴 및 옵션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OSD 메뉴에서는 밝기와 명암, 선예도 등의 디스플레이 화면 설정과 싱크 기능 등의 부가 기능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OSD 주요 메뉴에서 활성화 가능한 모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밝기/명암 - 밝기, 명암, 동적 명암비
컬러 - 감마, 화면모드, 색온도, 색조, 포화도
화면 설정 - 선명도, 응답 속도, Black Level
기타 설정 - FreeSync [Adaptive Sync], HDR 등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30_592.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3_4476.gif

본 제품은 일반, 사진, 영화, 게임 총 4개의 화면 모드를 지원합니다. 각 화면 모드는 모드에 따라 밝기와 대비, 색감에 있어서 차이를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에 알 맞는 화면 모드를 사용한다면 한층 더 높은 만족도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3_5217.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3_954.gif

해당 제품은 HDR 10을 지원하고 있으며 HDR 설정은 OSD 옵션 활성화 후, Windows 색 관리에서 HDR 옵션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HDR은 별도 프로파일 없이 On/Off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HDR 활성화 시 전체적으로 화면의 디테일 및 색상 표현에 있어 또렷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고, SDR 콘텐츠와는 확실히 다른 분위기의 장면을 표현해주고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4_0173.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3852.gif

이 제품은 1920 x 1080 (FHD) 해상도에서 최대 240Hz의 고 주사율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위 GIF에서는 제품의 60Hz 주사율과 최대 주사율을 비교한 것으로 GIF속 주변 배경 화면의 움직임에서 모니터 주사율에 따른 차이를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GIF의 고 주사율 환경에선 실 사용 환경과 같이 싱크 기술을 적용시켜, 싱크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60Hz의 GIF와 비교 시, 화면의 가로 방향 찢어짐(테어링) 없이 매끄럽게 처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4689.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6552.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7165.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814.png

본 제품은 Adaptive Sync 호환 기술을 통해 FreeSync, G-Sync Compatib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싱크 기술 적용 범위는 48 - 240Hz로 확인되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59_8799.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69_6834.png

▲ 마우스 클릭부터 화면 표시까지 시스템 전체 지연 시간입니다.

NVIDIA LDAT를 사용한 응답 속도 테스트는 시스템 전체의 응답 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해당 테스트 대상인 모니터는 공장 초기화된 상태이며, 이외 부품들은 동일하게 고정된 상태입니다. 
인 게임 테스트를 통해 확인 해 본 결과, 아무 것도 적용하지 않은 바닐라 상태부터 싱크 기술의 적용 여부, 수직 동기화 등 각 옵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는데, 빠른 응답 속도를 보여주는 케이스부터 정리하자면, 240Hz No Sync -> 240Hz NVIDIA 리플렉스  -> 240Hz 수직 동기화 -> 60Hz 인 게임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싱크 기술을 적용하지 않은 60Hz 인 게임 테스트에서 평균 35.3ms 수준의 시스템 전체 지연 시간이 측정되었고, 프레임 제한이 걸리지 않은 240Hz 인 게임 테스트에서는 18.3ms가, NVIDIA 리플렉스 모드를 적용하였을 때 18.7ms의 시스템 레이턴시가 측정되었으며, 게임 안에서 수직 동기화 옵션을 적용한 케이스에선 25.2ms의 시스템 전체 레이턴시가 측정되면서 수직 동기 옵션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인 결과를 확인했을 때 고 주사율과 리플렉스 기능 조합의 환경에서 더 좋은 게이밍 환경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69_7389.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69_9185.png

본 제품은 조준선 모드를 지원하고 있어 FPS 장르의 게임을 플레이할 때, 점프나 달리기, 파쿠르 등의 액션과 크로스헤어를 제공하지 않는 일부 총기류를 사용할 때와 같이 화면 중앙을 표시할 필요가 있을 때, 조준선 모드를 사용한다면 급박한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0_7733.gif

본 제품은 화면 전체의 명암, 밝기를 끌어 올려, 암부 스케일을 올려주는 '블랙 레벨'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순간적인 반응이 중요하고 어두운 곳을 잘 식별해야 하는 FPS 장르에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0_8339.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0_9926.png

▲ X-Rite i1 Basic 3 PRO PLUS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1_1545.png

▲ 코니카미놀타社 CA-410 VP427 프로브


쿨엔조이에서는 OLED, Mini LED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더욱 정확한 측정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CA-VP427 / i1 Basic 3 PRO PLUS 2가지 장비를 도입하였습니다. CA-VP427 색도계는 0.0001cd/㎡ 매우 낮은 수준의 휘도 측정이 가능하며, 저휘도 반복성이 높아 LCD뿐만 아니라 TrueBlack을 구현하는 OLED 측정에도 운용할 수 있는 장비입니다. 여기에 분광 광도계인 i1 Basic 3 PRO PLUS를 추가하여 추가적인 데이터를 확보 리뷰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1_2165.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1_5177.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71_6175.png

1920 x 1080 (FHD) 해상도에서 사용 가능한 주사율의 목록입니다. 최대 240Hz의 주사율을 지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1_362.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1_7675.png

▲ 모니터의 좌측 이너 베젤을 기준으로 촬영되었습니다.

본 제품의 서브 픽셀 구성은 RGB 6 서브 픽셀로 확인되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1_8306.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0138.png

위 표의 말발굽 모양(CIE 1931 색 공간)은 우리 눈으로 인지할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 대의 전체 컬러를 나타내며, 초록색 삼각형은 측정된 디스플레이의 색 영역, 빨간색 삼각형은 각 컬러 스페이스의 레퍼런스 영역입니다. 따라서 초록색 삼각형이 빨간색 삼각형에 최대한 근접해 있다면 해당 색 영역을 온전히 지원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sRGB 색상 영역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상 영역으로, 웹이나 디지털 콘텐츠 등 대부분의 모니터 등에서 표준으로 채택되는 색상 공간입니다. AdobeRGB는 사진이나 프린트같은 고해상도와 넓은 컬러 재현을 위해 만들어진 색 공간으로 sRGB보다 약 35% 더 많은 색을 재현할 수 있습니다. P3는 영상 콘텐츠, HDR, 광색역 등을 만족시키기 위한 색 공간입니다.

위 이미지 내에서 표기되는 수치 중 볼륨은 초록색 삼각형(측정)이 타깃인 빨간색 삼각형(목표) 대비 얼마나 많은 범위를 커버하고 있는 지, 즉 전체 범위에 대한 값이며, 커버리지는 초록색 삼각형이 빨간색 삼각형을 얼마나 만족하는 지를 나타냅니다. 

커버리지 기준의 측정 결과,
sRGB : 98.33%
AdobeRGB : 75.96%
P3 : 75.35%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0719.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3205.png

컬러 스펙트럼은 빛의 파장에 따른 밝기 값을 측정하는 것으로 X축은 파장(측정 단위), Y축은 밝기(색의 강도)를 의미 합니다. 컬러 스펙트럼이 높다는 것은 더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빛의 삼원색인 R/G/B의 각 파장이 뚜렷하게 구분될 수록 미세한 색상 차이를 더욱 세밀하게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는 리뷰 제품의 컬러 스펙트럼, 우측에는 참고 스펙트럼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3866.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5285.png

본 제품은 별도 감마 세팅을 제공하고 있지 않으며, 제품을 초기 상태로 만든 뒤 감마를 측정한 결과 기본 상태에서는 감마 2.21이 측정되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594.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82_7467.png

▲ 밝기 %에 따른 측정값

- 설정 : 테스트 시 적용된 밝기 %
- 백색 밝기 : 해당 %의 백색점의 밝기를 칸델라 수치로 표현
- 흑색 밝기 : 해당 %의 흑색점의 밝기를 칸델라 수치로 표현
- 대비 : 백색점 : 흑색점의 비율
- 백색점 : 흰색의 색온도를 켈빈 값으로 표현, 6500K 가 표준 값, 높을수록 파란화면, 낮을수록 붉은화면
- 1cd/㎡는 1㎡ 공간에 촛불 1개를 켠 것과 같은 밝기

기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밝기 및 대비 테스트 결과, 화면 밝기 0% 설정 시 38.3cd/㎡, 100% 설정 시 261.1cd/㎡로 제품의 공식 스펙인 250cd/㎡보다 소폭 높은 밝기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또 HDR 10을 지원하는 이번 제품을 10% APL 활성화 상태로 최대 밝기를 측정한 결과 백색 밝기 338.4cd/㎡, 흑색 밝기 0.092cd/㎡로 3661:1의 대비가 확인되었습니다. 

제품의 대비 값은 밝기 100%에서  3670:1이 측정되었습니다, 색온도의 경우 밝기 0%에서 100%까지 약 300K에 가량의 편차가 발생하였으며, 밝기 0%에서 7036K, 100%에서 7358K가 측정되어 주간 표준(6500K)보다 푸른 화면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2_3361.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2201.gif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393.png

제품에서 지원하는 화면 모드는 기본 모드를 포함 했을때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테스트 진행 시에 화면 별도의 설정 없이 공장 초기 상태에서 화면 모드만 변경하며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각각의 화면 모드는 모드에 따라 밝기와 대비, 색상과 블랙 표현에서 차이를 느낄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과 용도에 알 맞는 화면 모드를 선택한다면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 한층 더 높은 만족도를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4488.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641.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8366.pn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3_9795.png

위 3가지 균일도 테스트는 화면의 각 구역별로 얼마나 균일한 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는 테스트 항목으로, 화면을 7x7 총 49개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 별로 백색/흑색/색온도를 측정하여 데이터를 산출합니다. 해당 테스트는 같은 제품이라 하더라도 패널 생산 라인 및 공장, 원장에서 사용된 부분 등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로 충분히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으로, 해당 데이터가 리뷰 제품을 대표하지 않는 다는 점을 참고 바랍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4_0361.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4_2357.png

디스플레이 색상 정확도 측정은 디스플레이의 색상 표현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하는 단계로 기준 패치와 측정된 패치값을 비교하여 dE00 기준에 맞춰 결괏값을 우측에 표기합니다. 값이 클수록 색차가 크며, 값이 낮을 수록 색차가 적습니다. 색차 값이 1 미만일 경우 사람의 눈으로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이며 전문가용 모니터는 대개 평균 2 미만으로 팩토리 캘리브레이션이 진행되어 출고됩니다.

해당 제품의 측정 결과 기본 모드 상태에서는 델타 평균 3.77의 값으로 측정되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194_2968.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4_2577.png

제품의 온도를 열 화상 카메라로 실측 한 결과, 모니터 전면 하단 부에서 44.6℃, 제품 후면 하단부에서 40.8℃의 온도가 측정 되었습니다. 

제품을 사용하며 약 1.2m 거리에서 화면을 볼 때와 90cm 거리에서 화면을 볼 때 얼굴에 열감을 느낄 수 없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4_4038.png

소비전력 측정은 백색 패치를 화면 100%로 가득 채운 뒤, OSD나 내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밝기를 '0/25/50/75/100/HDR Peak (10% APL)' 6단계로 조절하여 측정하게 됩니다. (HDR 미지원은 HDR Peak 제외) OLED나 Mini LED 등 화면의 활성 영역에 따라 백라이트(또는 화소) 활성이 달라지는 경우 APL별(화면에 백색 패치가 차지하는 영역) 측정 데이터가 추가됩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4_6697.jpg

비트엠 Newsync X277F : FHD, 240Hz를 충족하는 게이밍 모니터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4_7327.jpg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4_8481.png

깔끔한 외관 디자인

'비트 엠 Newsync X277F'의 외형은 패널 마감 외의 각종 인터페이스를 모두 하단 쪽으로 배치하여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본체 대부분이 얇은 두께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부 시선에서는 얇은 프레임 부위가 휘어짐과 같은 내구성 이슈가 발생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를 나타낼 수도 있겠으나, 제품이 크지 않고 추가 프레임이 테두리 라인을따라 보강되어 있어 제법 단단한 느낌을 연출해 줍니다. 다만 추가로 붙은 보강 프레임이 다소 날카로운 부분이 있어 디테일한 마감면에서는 조금 아쉬운 모습을 보입니다. 이외 화면 몰입도는 베젤리스 디자인과 차분한 블랙 컬러 마감으로 크게 해치지 않아 좋았습니다. 


제품의 스탠드 구성 중 받침대는 'Y'자 형태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받침대의 각 끝부분이 바닥에 닿아지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여기에 미끄럼 방지 패드 3장을 부착하여 기본적인 밀림이나 본체를 지탱할 수 있었으며, 좌/우 대각으로 벌어진 다리는 사용자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넓은 범위를 커버하도록 디자인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만 본체의 필수 부품 등이 하단에 몰려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VESA 마운트도 같이 하단으로 밀려 설치된 점은 아쉽게 느껴집니다. 


조립의 경우 3개의 볼트와 결합하여 완성시킬 수 있었으며, 스탠드 기능은 틸트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5_196.png

sRGB 색역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 성능
이번 제품의 디스플레이는 16:9 화면 비율과 27인치 크기, VA 타입의 LCD 패널이 적용되었고 1920 x 1080 FHD 해상도, 최대 240Hz의 주사율을 지원하는 모니터입니다. 비교적 평범한 해상도를 가진 이번 제품은 표준적인 60Hz의 4배에 달하는 주사율을 지원함으로써 고프레임과 빠른 반응이 필요한 코어 게이머에게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불어 주사율당 1000원 미만의 높은 가성비를 보여줍니다.

'비트엠 Newsync X277F'의 디스플레이는 OSD를 기준으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에뮬레이션 프로필 없이 기본 모드와 화면 분위기를 전환하는 화면 모드 정도만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본 모드는 제조사 및 공장 출하 상태에서 세팅된 상태 그대로를 뜻하며 측정 결과 sRGB 98.3%의 커버리지(볼륨 103.76%), AdobeRGB와 P3 색역은 각각 75.96%(볼륨 76.92%)%, 76.35%(볼륨 76.49%)로 측정되었습니다. 따라서 광색역 보다는 웹 표준으로 많이 쓰이는 sRGB 타깃으로 설계된 것을 알 수 있으며, sRGB 컬러 볼륨이 3% 넓게 나오기는 했으나 큰 체감이 될 수준은 아닐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 색상 정확도를 나타내는 델타 평균 수치는 36개의 레퍼런스 패치를 비교한 결과 기본 모드 평균 3.77의 정확도 수준을 가진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는 전문가용 모니터가 1~2, 일반 소비자용 제품이 3~4인 점을 감안하면 크게 떨어지지는 않은 편이나 일부 컬러 작업 등 일부 콘텐츠 가공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면 아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5_4709.png

2W 스테레오 스피커 탑재
이번 제품은 가격과 스펙적으로 봤을 때 게임 입문자용 모델에 근접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만큼, 240Hz의 높은 주사율과 Adaptive Sync 기술뿐만 아니라 2W 스피커를 양쪽으로 배치한 스테레오 스피커를 지원하고 있으며, 최대 2년의 보증 정책은 큰 걱정 없이 사용하기 좋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63cd0fb54e8d2843c9e9df1bf7de04b1_1683877205_6.png 

240Hz 초 고주사율 입문자를 위한 코어 게이머용 모니터
비트엠 Newsync X277F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서울시 용산구 청파로 20길 9 용산아이피아 지하1층 72-77 (주)비트엠 대표 박근택 TEL 02-3272-1478~9 FAX 02-3272-1475
사업자등록번호 106-86-44085 법인등록번호 110111-3468215 통신판매등록번호 제 용산 06776호
네이버 공식 블로그 http://blog.naver.com/newsync4u
COPYRIGHT (주)비트엠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윤양선 younyangsun@nate.com